◆ 등루거제(登樓去梯)
< 오를 등, 다락 루, 치울 거, 사다리 제 >
[풀이]
다락에 오르도록 하고 사다리를 치운다는 뜻으로
'상대방을 꾀어내어 어려움에 처하도록 함'을 비유하는 말
[유래]
천하의 명군으로 이름 높은 순임금에 대한 일화입니다. 순은 본성이 착하고 효심이 깊은 인물이었지만, 그의 아버지(고수)와 배다른 형(상)은 어진 순을 질투하여 죽이려합니다. 어느 날 아버지는 순에게 지붕을 고치라고 명하고 순이 사다리를 타고 지붕에 올라가자 아버지와 형은 사다리를 치우고 불을 질렀습니다. 그러나 지혜로운 순은 아버지와 형이 살인자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두 사람 몰래 삿갓 두 개를 가지고 지붕에 올라갔었고, 이를 낙하산 삼아 아래로 내려와 위기를 피할 수 있었습니다.
이런 순의 지혜와 효성이 널리 퍼져 요나라 임금의 귀에 들어가게 되었고, 요임금은 순을 후계자로 삼았다고 합니다.
◆ 교주고슬(膠柱鼓瑟)
< 아교 교, 기둥 주, 북 고, 거문고 슬>
[풀이]
거문고 기둥을 아교로 붙여 연주한다는 뜻으로
'터무니없는 방법으로 일을 꾸려나가려는 우둔함이나 임시방편으로 남을 속이려 함'을 일컫는 말
[유래]
전국시대 조나라에 조사라는 명장이 있었습니다. 이때 조나라는 전국을 호령할 만큼 강대했는데, 얼마 후 조사가 죽자 조나라와 천하를 놓고 다투던 진나라가 조나라를 침략했습니다. 조나라 조정에서는 염파장군을 보내 대응토록 했으나 진나라 군사를 맞이한 염파는 성을 지킬 뿐, 나가서 싸우려 하지 않았습니다.
그러자 진나라 진영에서는 계책을 세워 "염파가 늙어서 방어에만 몰두하는 것이다. 그래서 진나라에서는 다행으로 여기고 있는데 조사장군의 아들 조괄이 장수로 임명되지 않기만을 바라고 있다."라는 유언비어를 퍼뜨리기 시작했지요. 이 소식을 들은 조나라 왕이 염파를 해임하고 조괄을 장수로 임명하려고 하자 대신 인상여가 "지금 대왕께서 그 소문만 믿고 조괄을 장수에 임명하는 것은 '마치 거문고 기둥을 아교로 붙여 타는 것'과 같습니다. 조괄은 그의 아버지가 물려준 병법을 읽었을 뿐 상황에 따른 임기응변의 책략을 세우지 못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조나라 임금은 인상여의 말을 무시하고 조괄을 장수로 임명했지요.
이 소식을 들은 조괄의 모친이 조정으로 달려와 "괄은 제 아비와 다릅니다. 조사장군은 살아생전 늘 저 녀석은 병서만 붙잡고 있으면서 자기가 군사를 안다고 착각하고 있습니다. 저 녀석에게 군사를 맡긴다면 반드시 패할 것입니다. 대왕께서는 부디 저 아이를 장수로 임명하지 마시옵소서.!"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왕은 아랑곳하지 않자 모친은 다시 "그렇다면 전쟁에 패하더라도 우리 식구에게 죄를 묻지 말아 주시옵소서..!"라고 말했습니다. 그러자 왕은 그리하겠다고 약속을 했고, 전장에 나간 조괄은 진나라의 계략에 빠져 크게 패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전국시대 강대국이었던 조나라는 쇠퇴하기 시작하여 결국은 멸망하고 말았습니다.
◆ 할계언용우도(割雞焉用牛刀)
< 나눌 할, 닭 계, 어찌 언, 쓸 용, 칼 도>
[풀이]
닭을 잡는데 소 잡는 칼을 쓴다는 뜻으로
'사소한 일에 거창한 수단을 동원하거나, 어울리지 않는 행동을 할 때' 쓰는 말
[유래]
공자의 제자 자유가 무성이라는 작은 마을을 다스릴 때, 자유는 공자의 가르침에 따라 마을을 예악으로 다스렸습니다. 어느 날 공자가 제자 자유가 다스리는 무성을 찾게 되었는데, 마을 곳곳에서 거문고 소리가 들려오자 공자는 웃으면서 "닭을 잡는데 어찌 소 잡는 칼을 쓰겠는가?"라고 말했습니다. 이 말을 들은 자유는 "'군자가 도를 배우면 사람을 사랑하고 소인이 도를 익히면 부리기 쉽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라고 대답했지요. 그러자 공자가 "그래, 자유의 말이 옳다. 내가 한 말은 농담일 뿐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이 이야기는 작은 마을을 다스리면서 나라를 다 스리는 듯한 제자 자유를 비웃는 뜻도 있지만, 작은 마을을 다스리기에는 아까운 제자의 재능을 비유적으로 한 말이기도 합니다.
- 자료출처 : 고사성어랑 일촌 맺기 -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사성어 공부, 유래 있는 고사성어 '창업이수성난'... (1) | 2025.06.26 |
---|---|
고사성어 공부, 함흥차사의 유래와 진실은..?? (0) | 2025.06.16 |
[오일장터] '양평오일장' 에서 앙평밀경관단지 '양평밀축제장' 으로..!! (6) | 2025.06.14 |
[24절기] 농경 사회의 달력 24절기의 역사와 의미 (0) | 2025.02.19 |
[입춘대길] 2025년 입춘에 붙이는 입춘축의 유래와 전통 풍속..!! (0) | 2025.0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