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시빈목(西施嚬目)
< 서녘 서, 베풀 시, 찡그릴 빈, 눈 목 >
(요약) 서시가 눈살을 찌푸린다는 뜻으로
쓸데없이 남의 흉내를 내거나, 남의 단점을 장점인 줄 알고 모방하여
세상의 웃음거리가 됨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유래) 춘추시대 말, 월나라 왕 구천이 오나라 왕 부차와의 전쟁에서
패한 후 치욕을 감수하며 복수를 위해 절치부심하던 때, 오왕 부차의
방심을 유도하기 위해 대신들과 계책을 논의한 끝에 월나라의 최고
미인을 선발하여 서시라는 여인을 오왕 부차에게 바쳤다.
오왕 부차는 월나라에서 진상한 서시를 보자마자 미색에 흠뻑 빠져
정사를 도외시하고 국사는 대신들에게 맡겨져 어떻게 돌아가든 관심
밖이었다. 한편, 서시에게는 어릴 때부터 가슴앓이 병이 있어 가슴의
통증을 느낄 때마다 눈살을 찌푸리며 고통스러워했다.
왕실의 전의가 백약을 써도 소용이 없게 되자 서시는 부차의 허락을
받아 친정으로 돌아와서도 가슴의 통증을 느낄 때는 눈살을 찌푸리고
있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워낙 뛰어난 미모이기 때문에 사람들은 색다른 매력으로 느꼈다.
같은 마을에 아주 추하게 생긴 추녀가 이를 보고 서시처럼 자기도 눈살을 찌푸리면 예뻐 보일 것이라 믿고
얼굴을 잔뜩 찌푸리고 동네를 돌아다녔다. 이를 본 마을 사람들이 모두 질겁해서 집으로 들어가 대문을 걸어
잠그고 밖으로 나오려 하지 않았다.
<장자> 천운 편에 나오는 이 이야기는 반유교적인 장자가 외형에만 치중하여 본질을 꿰뚫어 볼 능력이 없는 사람을
풍자하는 것으로, 춘추말엽의 난세에 태어난 공자가 그 옛날 주왕조의 이상정치를 그대로 노나라와 위나라에 재현시키려는
것은 '서시빈목'을 흉내 내는 추녀의 행동과 같다는 것을 말합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사성어 공부, 옛날 여인의 법도(法度)와 관련 된 사자성어..!! (0) | 2023.03.16 |
---|---|
고사성어 한마디, 재미있는 이야기 [칠신탄탄] (0) | 2023.02.17 |
고사성어 한마디, 재미있는 한자 공부 [갈택이어] (0) | 2023.02.11 |
고사성어 한마디, 재미있는 이야기 [어부지리] (0) | 2023.02.10 |
고사성어 한마디, [마부작침] (3) | 2023.0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