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의교훈2 고사성어 한마디, 재미있는 이야기 [칠신탄탄] 칠신탄탄(漆身呑炭) (요약) 몸에 옻칠을 하고 숯을 삼킨다는 뜻으로 곧 복수할 것을 잊지 않기 위해 제 몸을 괴롭힘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입니다. (유래) 춘추시대 말기 진나라의 왕권이 흔들리면서 실권자였던 지백이 패권타툼에서 한, 위 양가의 모반으로 조양자에게 죽임을 당했다. 그러자 지백의 신하 예양이라는 자는 "선비는 자기를 알아주는 이를 위하여 죽는다."면서 보복을 맹세하고, 조양자를죽임으로써 지백의 원한을 풀어 주려고 했다. 예양은 미장이로 변신을 하고 궁중의 공사장에 끼어 들어갔다. 어느 날 조양자가 변소에 들어가는 것을 보고 몰래 들어가 그를 찔러 죽이려다가 실패하여 붙잡혔다. 조양자가 이유를 묻자 "지백은 나를 국사로 대접하였으니, 나도 국사로서 보답하기 위함이다."라고 대답.. 2023. 2. 17. 고사성어 공부, 호랑이와 관련된 고사성어 [기호지세, 호미난방, 양호유환, 삼인성호] 기호지세(騎虎之勢) (요약) 호랑이 등에 올라탄 형세와 같다는 뜻으로 호랑이 등에서 내리는 순간 호랑이 밥이 될 것이 뻔하므로'한 번 시작한 일은 중도에서 그만둘 수가 없다'는 뜻으로 쓰이는 말입니다. (유래) 한족 출신인 재상 양견은 선제가 죽고 나이 어린 정제가 즉위하자 한족 출신 대신들의 세력을 규합하여 모반을 꾀하게 됩니다. 이때 양견의 부인이 남편에게 보낸 편지에 "이미 호랑이 등에 타고 달리는 형세(騎虎之勢) 이므로 도중에 내릴 수 없습니다. 만약 도중에 내린다면 호랑이 밥이 될 터이니 끝까지 달릴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부디 뜻을 이루시옵소서." 라며 남편을 격려했다, 결국 양견은 부인의 격려에 용기를 얻어 저항하는 세력을 물리치고 모반에 성공하게 됩니다. 양견은 자신을 .. 2022. 12. 2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