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화위복2

고사성어 공부, 세상 이치와 관련된 사자성어 모음 살다 보면 세상 이치를 때로는 망각하기도 하지만, 이를 무시하고 사리사욕에 치중하는 정치인들이나 사회 범법자들에게 귀감이 되는 사자성어도 꽤 있는 것 같습니다. 이 성어들은 현대 사회의 불확실성과 위기 속에서도 낙관적인 태도와 유연한 사고, 그리고 인내와 겸손을 일깨웁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에서 우리는 이 고사성어들이 전하는 교훈처럼 어떤 일도 성급하게 판단하지 말고,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려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하겠습니다. 삶의 모든 일이 계획대로 되지 않더라도, 뜻밖의 복은 준비된 자에게 찾아온다는 믿음이 오늘날에도 유효한 삶의 자세임을 알 수 있습니다. 각 고사성어의 뜻풀이◆ 새옹지마(塞翁之馬) : [변방 새, 어르신네 옹, 조사 지, 말 마] : 변방에 사는 노인.. 2023. 6. 7.
고사성어 한마디, [새옹지마] 새옹지마(塞翁之馬) (요약) 변방 늙은이의 말이라는 뜻으로세상일의 좋고 나쁨을 미리 예측할 수가 없음을 비유하는 말.좋은 일이 생겼다고 너무 자만하지 말고, 불행한 일이 생겼다고 너무 낙심하지도 말라는 교훈적인 고사성어입니다. (유래) 중국 국경지방에 새옹이라 불리는 한 노인이 살고 있었다. 어느 날 노인이 기르는 말이 국경을 넘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나 버렸다. 이웃 사람들이 아쉬워하며 노인을 위로하자 새옹은 "이 일이 복이 될지 누가 알겠소?" 하며 아무렇지도 않은 듯이 말했다.그로부터 몇 달이 지난 뒤 달아났던 말이 오랑캐의 좋은 암말을 한 필 데리고 돌아왔다. 이를 본 이웃 사람들이 "말씀대로 되었습니다." 하며 축하하자 "이게.. 2023. 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