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사 일장춘몽'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인생이란 길지 않은 삶을 사는 동안 겪어야 하는 희, 노, 애, 락을 모두 함축시켜 한 편의 꿈처럼 덧 없이 사라짐을 뜻하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사람이 살아가는 동안은 기억에서 지워야 할 것과 지워서는 아니 될 것들의 연속이지요. 즉 얼른 잊어버리고 싶은 것이 있는가 하면 쉽게 잊어서는 안 될 기억들이 있습니다. 오늘은 잊으려 해도 잊을 수 없다는 뜻과 결코 잊어서는 안 된다는 뜻의 사자성어를 모아 보았습니다.
은혜를 잊지 못함
진심으로 베푼 은혜는 시간이 지나도 잊혀지지 않고,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를 단단하게 만든다는 교훈을 주는 사자성어는 개인주의가 강한 사회 속에서도 감사하는 마음, 보은의 자세는 공동체의 유대를 강화하는 핵심 가치로 작용합니다.
특히 직장, 사회관계, 가족 내에서도 도움 받은 것을 기억하고 보답하려는 자세가 인간관계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데 필요합니다.
◆ 백골난망(白骨難忘)
<한자음> 흰 백, 뼈 골, 어려울 난, 잊을 망
<요 약> 자기에게 베풀어 준 은혜를 잊지 않겠다고 다짐할 때 쓰이는 말
< 풀 이> 몸(뼈)이 썩어 흰 가루가 되더라도 잊지 못함
◆ 결초보은(結草報恩)
<한자음> 맺을 결, 풀 초, 갚을 보, 은혜 은
<요 약> 죽은 사람이 풀을 엮어 은혜를 갚았다는 춘추시대 고사에서 유래
< 풀 이> 죽어서도 은혜를 갚는다는 말
◆ 오매불망( 寤寐不忘)
<한자음> 깰 오, 잠잘 매, 아니 불, 잊을 망
<요 약> 그리운 대상을 기다릴 때 쓰이는 표현으로 쓰임
< 풀 이> 자나 깨나 잊지 못함
◆ 몽매지간(夢寐之間)
<한자음> 꿈 몽, 잠잘 매, 조사 지, 사이 간
<요 약> 그리운 대상을 기다릴 때 쓰이는 표현으로 '몽매간' 또는 '몽매'라고도 함
< 풀 이> 꿈을 꾸고 잠을 자는 동안에도 잊지 못함
원한을 잊지 못함
깊은 분노와 증오를 표현하는 말이지만, 증오와 보복이 관계를 망치고 더 큰 불행을 부른다는 점에서 감정의 위험성을 되새기게 하는 성어들입니다. 현대 사회에서는 갈등을 피할 수 없지만 극단적인 감정보다는 대화와 공존이 필요하다는 교훈을 줍니다.
◆ 철천지한(徹天之恨)
<한자음> 뚫을 철, 하늘 천, 조사 지, 한 한
<요 약> 하늘을 뚫을 만큼 한이 맺힌 원수를 가리킬 때 쓰이는 표현
< 풀 이> 하늘을 뚫을 만큼 맺힌 원한
◆ 각골통한(刻骨痛恨)
<한자음> 새길 각, 뼈 골, 아플 통, 한 한
<요 약> 뼈에 새길만큼 잊을 수 없는 고통을 뜻하는 말
< 풀 이> 뼈에 새길만큼 잊을 수 없는 원한
◆ 불구대천(不俱戴天)
<한자음> 함께 불, 함께 있을 구, 일 대, 하늘 천
< 요 약> 같은 하늘 아래서는 함께 있을 수 없음
< 풀 이> 깊은 원한으로 어느 한 쪽은 없어져야 한다는 말로 쓰임
◆ 원입골수(怨入骨髓)
<한자음> 원망할 원, 들 입, 뼈 골, 골수 수
<요 약> 원한이 뼛속까지 사무친다는 표현을 한자어 나타냄
< 풀 이> 원한이 뼈에 사무침
◆ 일구월심(日久月深)
<한자음> 날 일, 오랜 구, 달 월, 깊을 심
<요 약> 날이 가고 달이 깊어진다는 말이지만 많은 세월이 흘러도 변함없음을 뜻함
< 풀 이> 세월이 흘러도 바라는 마음은 변함없음
◆ 안거위사(安居危思)
<한자음> 편안할 안, 살 거, 위태로울 위, 생각 사
<요 약> 편안할 때도 앞으로 닥칠 위험에 대비해야함을 뜻함
< 풀 이> 편안하게 살면서 위태로움을 생각함
◆ 배은망덕(背恩忘德)
<한자음> 배신할 배, 은혜 은, 잊을 망, 덕 덕
<요 약> 베풀어 준 은혜에 보답은 커녕 은혜를 원수로 갚음을 비유하는 말
< 풀 이> 은혜를 배신하고 베풀어 준 덕을 잊음
◆ 보원이덕(報怨以德)
<한자음> 갚을 보, 원망할 원, 이로써 이, 덕 덕
<요 약> 복수해야 할 상대를 덕으로 갚는다는 뜻으로 논어에서 나온 말
< 풀 이> 원한을 덕으로 갚음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절기] 농경 사회의 달력 24절기의 역사와 의미 (0) | 2025.02.19 |
---|---|
[입춘대길] 2025년 입춘에 붙이는 입춘축의 유래와 전통 풍속..!! (0) | 2025.02.03 |
고사성어 공부, 세상 이치와 관련된 사자성어 모음 (2) | 2023.06.07 |
고사성어 공부, 옛날 여인의 법도(法度)와 관련 된 사자성어..!! (0) | 2023.03.16 |
고사성어 한마디, 재미있는 이야기 [칠신탄탄] (0) | 2023.0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