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고사성어 공부, 세상 이치와 관련된 사자성어 모음

by 솔모루촌장 2023. 6. 7.
728x90

살다 보면 세상 이치를 때로는 망각하기도 하지만, 이를 무시하고 사리사욕에 치중하는

정치인들이나 사회 범법자들에게 귀감이 되는 사자성어도 꽤 있는 것 같습니다.!!

 

 

◆ 새옹지마(塞翁之馬) 

       <한자음> :  [변방 새, 어르신네 옹, 조사 지, 말 마]

       <유래>  : 변방에 사는 노인의 말에 대한 이야기에서 유래된 고사성어

       < 풀이> : '좋은 일이 나쁜 일이 될 수 있고 , 나쁜 일이 다시 좋은 일이 될 수도 있다'는 말.

◆ 전화위복(轉禍爲福)

       <한자음> : [구를 전, 재앙 화, 할 위, 복 복]

       <유래>  :  순환하는 세상 이치를 비유한 사자성어 

       <풀이>  : '재앙이 복으로 바뀌어 돌아온다'는 말.

◆ 무망지복(毋望之福)

       <한자음> : [말 무, 바랄 망, 조사 지, 복 복]

       <유래>  :  순환하는 세상 이치를 비유하는 사자성어

       <풀이>  : '바라지 않은 복이 뜻밖에 찾아온다'는 말.

◆ 맹인직문(盲人直門)

       <한자음> : [소경 맹, 사람 인, 곧을 직, 문 문]

       <유래>  :  소경이 바로 문으로 들어서는 것을 비유하는 사자성어

       <풀이>  : '어리석은 사람이 어쩌다 이치에 들어맞는 일을 했다'는 말.

◆ 매염봉우(賣鹽逢雨)

       <한자음> : [팔 매, 소금 염, 맞이할 봉, 비우]

       <유래>  :  뜻밖에 만나는 불운을 비유하는 사자성어

       <풀이>  : '소금을 팔고 있는데 비가 온다'는 말.

◆ 사필귀정(事必歸正)

       <한자음> : [일 사, 반드시 필, 돌아올 귀, 바를 정]

       <유래>  :  일은 반드시 바른 곳으로 돌아감을 비유하는 사자성어

       <풀이>  : '어떤 일이 도중에 잘못될 수는 있으나 결국은 본래의 정한 이치로 돌아간다'는 말.

◆ 흥진비래(興盡悲來)

       <한자음> : [흥할 흥, 다할 진, 슬플 비, 올 래]

       <유래>  :  흥함이 다하고 나면 슬픔이 찾아옴을 비유하는 사자성어

       <풀이>  : '세상만사가 늘 좋을 수만은 없고, 좋은 일과 나쁜 일이 차례로 일어난다'는 말.

◆ 고진감래(苦盡甘來)

       <한자음> : [쓸 고, 다할 진, 달 감, 올 래]

       <유래>  :  쓴 맛이 가시고 나면 단 맛이 온다는 것을 비유하는 사자성어

       <풀이>  : '세상만사 돌고 도는 것, 고통이 지나가고 나면 달콤함이 온다'는 말.

◆ 운수소관(運數所關)

       <한자음> : [돌 운, 셀 수, 바 소, 빗장 관]

       <유래>  :  운명은 어찌할 수 없음을 비유하는 사자성어

       <풀이>  : '모든 일이 운수에 달려 있어 사람의 힘으로는 어쩔 수 없다'는 말.

◆ 생자필멸(生者必滅)

       <한자음> : [날 생, 사람자 자, 반드시 필, 멸할 멸]

       <유래>  :  윤회를 중시하는 불교에서 유래된 사자성어

       <풀이>  : '태어난 사람은 반드시 죽는다'는 말.

◆ 거자필반(去者必反)

       <한자음> : [갈 거, 사람 자, 반드시 필, 되돌릴 반]

       <유래>  :  떠난 사람은 반드시 되돌아온다는 것을 비유하는 사자성어

       <풀이>  : '떠난 사람은 언젠가는 돌아오니 너무 슬퍼할 이유가 없다'는 말.

◆ 회자정리(會者定離)

       <한자음> : [모을 회, 사람 자, 정할 정, 떠날 리]

       <유래>  :  불교 용어에서 유래된 사자성어

       <풀이>  : '만난 사람은 반드시 헤어지기 마련이다'는 말.

◆ 월만 즉휴(月滿卽虧)

       <한자음> : [달 월, 찰 만, 곧 즉, 이지러질 휴]

       <유래>  :  불교 용어에서 유래된 사자성어

       <풀이>  : '달이 차면 곧 기울어지기 마련이다'는 말.

◆ 북망산천(北邙山川)

       <한자음> : [북녘 북, 산이름 망, 뫼 산, 내 천]

       <유래>  :  중국의 북망산이라는 곳에 무덤이 많았던 데서 유래된 사자성어

       <풀이>  : '사람이 죽어서 묻히는 곳'을 말하며 '무덤이 많은 곳'을 가리킴.

       

        ** 조선시대 숨어 살던 선비 김창업이란 분의 멋진 시가 있군요.!

                  " 벼슬을 저마다 하면 농부 할 이 뉘 있으며

                    의원이 병 고치면 북망산이 저려하랴

                    아이야 잔 가득 부어라 내 뜻대로 하리라 "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