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석물촉(中石沒鏃)
<가운데 중, 돌 석, 잠길 몰, 화살 촉 >
(요약) 돌에 화살촉이 깊이 박혔다는 뜻으로
정신을 집중하여 온 힘을 다 하면 어떤 일도 이룰 수 있음을
이르는 말.
(유래) 전한 시대 궁술과 기마술에 남다른 재주를 가진 이광이란
명장이 있었다. 그는 흉노를 크게 무찌른 공으로 시종무관이 되었
으며, 황제를 호위하여 사냥을 갔다가 큰 호랑이를 때려잡아 세상에
용맹을 떨치기도 했다. 어느 날 이광이 명산으로 사냥을 나갔다가
풀숲에 엎드려 있는 호랑이를 보고 일발필살의 신념으로 화살을
날렸다.화살은 명중했는데 호랑이는 꼼짝도 안 했다. 가까이 다가가
보니 그것은 화살이 깊이 박혀있는 큰 돌이었다. 이광은 제자리로
돌아와 다시 그 돌에 활을 쏘았으나 화살은 돌에 명중하는 순간 튕겨
져 나갔다. 정신을 집중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사기> <이장군열전>에 나오는 이야기로 중석몰촉(中石沒鏃)은 이광이 쏜 화살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이와 유사한 이야기가 <한서외전>에서도 전해 지는데, 초나라 웅거자가 호랑이를 쏘았는데 화살깃까지 깊숙이 박힌
바위였다고 하여 중석몰시(中石沒矢), 사석위호(射石爲虎)라는 말이 쓰이고 있습니다.
이 이야기는 "정신일도 하사불성(精神一到何事不成)" 과도 일맥상통하는 고사성어입니다.
정신일도하사불성(精神一到 何事不成)
(요약) 정신을 한 곳에 집중하면 무슨 일이든 이루지 못할 것이 없다는 뜻으로
진심으로 전념하고 노력하면 불가능한 일도 이루어낼 수 있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유래) 이 성어는 중국 고전에서는 명확한 원전이 확인되지는 않지만, 한나라 유학자들의 철학과 수신론에서 비롯된 유교적 사고와 관련이깊습니다. 특히 정신 집중, 수양, 자기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성리학 사상과 관련되어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한국에서는 조선시대 학자들이 "수신제가치국평천하"와 같은 유교 윤리와 함께 이 표현을 많이 사용했습니다. 성리학자들은 "도를 이루는 데는 외적인 환경보다 자신의 정신을 얼마나 집중하는가가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현대 사회에서 주는 교훈
● 집중과 끈기의 중요성
- 정신을 하나로 모아 한 가지 일에 몰입한다면 결국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강한 메세지를 줍니다.
- 특히산만하고 멀티테스킹이 일상화된 현대인에게는 한 가지 목표에 집중하는 힘의가치를 상기시켜 줍니다.
● 작은 성공도 마음가짐에서 시작
- 큰 일만 아니라 작은 일이라도 진심으로 임하면 충분히 성과를 얻을 수 있다는 긍정적 동기 부여를 줍니다.
● 의지와 노력은 성공의 출발점
- 재능보다 중요한 것은 집중력과 지속적인 노력이라는 삶의 원리를 일깨워 주며, 학생이나 직장인, 예술가 등 모든 이에게 통용되는 가치입니다. 예를 들면 '학생이 학업에 집중하여 성적을 올릴 때', 지장에서 한 프로젝트에 몰입하여 성과를 낼 때', '운동선수가 훈련에 집중하여 기록을 향상 시킬 때' 등 모두가 "정신일도 하사불성"의 실천이라 할 수 있습니다.
결국 "정신일도 하사불성"은 인간의 의지와 노력, 집중이 모든 성취의 열쇠라는 깊은 진리를 담은 말입니다. 요즘같이 빠르게 변하는 시대 속에서도 한 길을 묵묵히 가는 힘이 결국 큰 성과를 만들어낸다는 교훈을 주는 성어로서 여전히 유효합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사성어 한마디, [태산불사토양] (0) | 2023.01.13 |
---|---|
고사성어의 유래, [낭중지추] (0) | 2023.01.12 |
[고사성어 공부] 한단지몽, 복수불반분, 수주대토.. (0) | 2023.01.09 |
[고사성어] 비슷한 처지를 나타내는 동병상련, 호사토비..!! (0) | 2023.01.08 |
고사성어 한마디, [배반낭자] (0) | 2023.01.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