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중지추(囊中之錐)
< 주머니 낭, 가운데 중, 조사 지, 송곳 추 >
(요약) 주머니 속의 송곳이란 뜻으로
재능이 뛰어난 사람은 숨어 있어도 저절로 남의 눈에 드러나게
된다 것을 비유하여 쓰이는 말입니다.
(유래) 전국시대 말기 조나라는 진나라의 침략을 받아 수도 한단이 포위
되자 다급해진 조나라는 이웃 초나라에 구원군을 요청하기 위해 재상
평원군을 보내기로 했다. 수많은 식객을 거느리고 있는 평원군은 식객들
중에서 문무를 갖춘 사람으로 20명을 골라 함께 가기로 하고 19명 까지는
쉽게 뽑았는데 나머지 1명은 고를 만한 사람이 없어 고심하고 있었다.
이때 모수라는 사람이 "저를 함께 데리고 가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평원군은 얼굴조차 처음 보는 듯한 낯선 그에게 물었다.
"내 집에 온지 얼마나 되었소?" 그가 "3년쯤 됩니다."하고 답하자
평원군이 "현명한 선비가 세상에 있는 것을 비유하자면 주머니 속에 있는 송곳과 같아서
그 끝이 밖으로 튀어 너오기 마련이오.(夫賢士之處世也, 譬若錐之處囊中, 其末立見) 한데 그대는 내 집에서 3년이나 있었다 하지만
나는 한 번도 그대 이야기를 들은 적이 없소.!" 하며 거절하자 모수가 다시 말했다. "그래서 저를 주머니에 넣어 주십사 청을
드리는 겁니다. 저를 더 일찍 주머니에 넣어 주셨더라면 송곳이 주머니를 뚫고 나와 그 끝만 아니라 자루까지 밖으로
드러났을 것입니다." 이리하여 모수를 포함한 일행과 초나라에 도착한 평원군은 초나라 왕과의 협상에서 모수의 활약으로
목적을 달성하게 되었고, 평원군이 구원병을 이끌고 오자 진나라의 군사들이 퇴각하여 조나라는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낭중지추(囊中之錐)는 <사기> <평원군우경열전>에 나오는 평원군의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으며,
모수자천( 毛遂自薦)이라고도 하며 유사어로 군계일학(群鷄一鶴)이 있습니다.
군계일학(群鷄一鶴)
< 무리군, 닭 계, 하나 일, 핳 학 >
(요약) 닭의 무리 속에 있는 한 마리의 학이라는 뜻으로
평범한 사람들 속에 섞여 있는 뛰어난 한 사람을 비유하여 쓰이는 말입니다.
(유래) 이 사자성어는 중국 한나라의 문인인 사마천의 [사기] 중 "유림열전"에 나오는 이야기에서 유래했습니다.
한나라 초기의 학자 양웅이 자신을 겸손하게 낮추면서도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는 닭들 속에 섞인 학과 같다." 즉 남들보다는 좀 나은 위치일지라도 스스로 겸손을 잃지 않겠다는 의미로 사용했습니다. 이후에는 겸손보다는 탁월한 인물에 대한 찬사의 의미로 널리 쓰이게 되었습니다.
현대 사회에 주는 교훈
● 뛰어난 능력은 어떤 환경에서도 드러난다
- 어떤 조직이나 집단 속에서도 진정한 실력은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이는 자신이 어떤 환경에 있든 꾸준히 노력하고 실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는 교훈으로 이어집니다.
● 경쟁 사회에서의 차별화
- 현대 사회는 경쟁이 치열한 구조입니다. 그 속에서 자기만의 강점, 전문성, 창의성을 갖춘 사람은 자연스럽게 군계일학으로 인정받습니다.
- 남들과 다름을 두려뤙하지 말고 차별화된 역량을 키우는 것이 성공의 열쇠라는 메시지를 줍니다.
● 겸손과 자기 인식
- 원래는 자신이 뛰어나더라도 자만하지 않고 스스로를 경계하는 말로도 쓰였던 만큼 뛰어난 사람일수록 겸손함을 유지하는 태도가 필요하다는 점도 함께 시사합니다.
"군계일학"은 자신만의 뛰어난 실력이나 인격을 가진 사람은 어떤 상황에서도 빛날 수 있다는 진리를 전합니다. 동시에 그 뛰어남이 교만이 아닌 겸손과 노력 위에 서 있을 때, 더 큰 존경을 받는다는 교훈을 줍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사성어 한마디, [조삼모사] (0) | 2023.01.14 |
---|---|
고사성어 한마디, [태산불사토양] (0) | 2023.01.13 |
고사성어 한마디, [중석몰촉] (0) | 2023.01.11 |
[고사성어 공부] 한단지몽, 복수불반분, 수주대토.. (0) | 2023.01.09 |
[고사성어] 비슷한 처지를 나타내는 동병상련, 호사토비..!! (0) | 2023.01.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