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공부8 고사성어 공부, 유래 있는 고사성어 '창업이수성난'... ◆ 창업이수성난(創業易守成難) : [비로소 창, 일 업, 쉬울 이, 지킬 수, 어려울 난] : 창업은 쉬우나 이룬 것을 지키는 것은 어렵다. : 당나라의 전성기를 연 태종이 물었습니다. "제왕의 사업은 창업이 어려운가, 이를 지키는 수성이 어려운가?" 그러자 상서좌 복야 방현령이란 자가 "혼란 세상에 수많은 영웅들이 다투어 일어날 때 이를 쳐서 이겨야만 승리를 얻게 되니 창업이 어려울 듯합니다."라고 대답했습니다. 그러자 위징이란 자가 일어나 "제왕이 처음 일어날 때는 기존 조정이 부패해서 천하가 혼란에 빠진 상태이므로 무도하느임금을 넘어뜨린 새 천자를 백성들은 기쁨으로 받들게 됩니다. 이는 알고 보면 하늘이 내린 명이요. 백성이 기쁨으로 따르는 까닭에 어렵지 않습.. 2025. 6. 26. 고사성어 공부, 이야기로 배우는 고사성어 1, 2, 3.. ◆ 등루거제(登樓去梯) [요약]다락에 오르도록 하고 사다리를 치운다는 뜻으로'상대방을 꾀어내어 어려움에 처하도록 함'을 비유하는 말 [유래] 천하의 명군으로 이름 높은 순임금에 대한 일화입니다. 순은 본성이 착하고효심이 깊은 인물이었지만, 그의 아버지(고수)와 배다른 형(상)은 어진 순을 질투하여 죽이려합니다. 어느 날 아버지는 순에게 지붕을 고치라고 명하고 순이 사다리를 타고 지붕에 올라가자 아버지와 형은 사다리를 치우고 불을 질렀습니다. 그러나 지혜로운 순.. 2025. 6. 23. 고사성어 한마디, [와신상담] 와신상담(臥薪嘗膽) (요약) 가시나무 위에서 잠을 자고 쓸개의 맛을 본다는 뜻으로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난을 참고 견디며 심신을 단련함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유래) 춘추전국시대 때 오나라와 월나라는 앙숙지간이었다. 오나라 왕 합려는 월나라 왕 구천에게 크게 패하는 전투에서 월나라 장수 영고부의 화살을 맞고 그 상처가 악화되어 결국 목숨을 잃게 되었는데, 죽기 전에 아들 부차에게 반드시 원수를 갚아 달라는 유언을 남겼다. 왕위에 오른 부차는 아버지의 복수를 잊지 않기 위해 가시 많은 땔감나무 위에서 잠을 자며 아침저녁으로 자기 방을 드나드는 신하에게 "부차야! 너는 구천이 너의 아버지를 죽였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렇게 외치게 하면서 마음의 고삐를 바싹 조이고 때가 오기만을 기다렸.. 2023. 1. 24. 고사성어 한마디, [태산불사토양] 태산불사토양(泰山不辭土壤) (요약) 태산은 한 줌의 흙이라도 사양하지 않는다는 뜻으로지도자는 사소한 의견이나 인물을 수용할 수 있어야 큰 뜻을이룰 수 있음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유래) 이사는 초나라 사람으로 더 큰 뜻을 펼치기 위해 진나라로 갔다. 진나라 승상 여불위의 도움으로 재상이 된 이사는 진나라 왕에게 큰 신임을 얻게 되어 다른 나라 인사를 등용하여 관직에 앉히는 객경의 자리에 올랐다. 그런데 한나라에서 온 정국이라는 자가 동쪽 정벌을 포기하려는 음모를 꾸몄음이 발각되자 왕족과 대신들은 모든 외국 인사들을 축출하자며 들고일어났다. 이사 역시 축출대상에 들었다. 그러자 이사는 왕에게 상소문을 올렸는데, 상소문에는 "태산은 한 줌의 흙도 사양하지 않았으므로 그렇게 높을 수 있으며, 하해.. 2023. 1. 13. 고사성어의 유래, [낭중지추] 낭중지추(囊中之錐) (요약) 주머니 속의 송곳이란 뜻으로재능이 뛰어난 사람은 숨어 있어도 저절로 남의 눈에 드러나게 된다 것을 비유하여 쓰이는 말입니다. (유래) 전국시대 말기 조나라는 진나라의 침략을 받아 수도 한단이 포위되자 다급해진 조나라는 이웃 초나라에 구원군을 요청하기 위해 재상 평원군을 보내기로 했다. 수많은 식객을 거느리고 있는 평원군은 식객들 중에서 문무를 갖춘 사람으로 20명을 골라 함께 가기로 하고 19명 까지는 쉽게 뽑았는데 나머지 1명은 고를 만한 사람이 없어 고심하고 있었다. 이때 모수라는 사람이 "저를 함께 데리고 가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평원군은 얼굴조차 처음 보는 듯한 낯선 그에게 물었다. "내 집에 온지 얼마나 되었소?" 그가 "3년쯤 됩니다... 2023. 1. 12. 고사성어 공부, 유비무환 계명구도, 교토삼굴..!! 계명구도(鷄鳴狗盜) (요약) 닭 울음소리와 개 도둑이라는 뜻으로'하잘것없는 재주도 다 쓸 곳이 있다'는 말입니다. (유래) 제나라 맹상군은 진나라 소왕의 초청으로 여러 식객들과 함께 진나라로 가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진나라에 머문 지 오래되었지만 소왕은 그들을 풀어주지 않고 있었습니다. 위기감을 느낀 맹상군 일행은 소왕의 애첩에게 탈출할 수 있게 도와 달라고 부탁을 했습니다. 그러자 소왕의 애첩은 여우 가죽으로 만든 호백구라는 옷을 요구했습니다. 하지만 그 옷은 이미 소왕에게 선물로 바쳤으므로 난처하게 되었지요. 그러자 개 도둑으로 알려진 식객이 소왕의 침실로 들어가 호백구를 훔쳐다 애첩에게 바치고 극적으로 탈출을 할 수 있었습니다. 맹상군 일행이 국경에 도달했을 무렵에는 동이 트기 .. 2022. 12. 28. 고사성어 공부, 호랑이와 관련된 고사성어 [기호지세, 호미난방, 양호유환, 삼인성호] 기호지세(騎虎之勢) (요약) 호랑이 등에 올라탄 형세와 같다는 뜻으로 호랑이 등에서 내리는 순간 호랑이 밥이 될 것이 뻔하므로'한 번 시작한 일은 중도에서 그만둘 수가 없다'는 뜻으로 쓰이는 말입니다. (유래) 한족 출신인 재상 양견은 선제가 죽고 나이 어린 정제가 즉위하자 한족 출신 대신들의 세력을 규합하여 모반을 꾀하게 됩니다. 이때 양견의 부인이 남편에게 보낸 편지에 "이미 호랑이 등에 타고 달리는 형세(騎虎之勢) 이므로 도중에 내릴 수 없습니다. 만약 도중에 내린다면 호랑이 밥이 될 터이니 끝까지 달릴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부디 뜻을 이루시옵소서." 라며 남편을 격려했다, 결국 양견은 부인의 격려에 용기를 얻어 저항하는 세력을 물리치고 모반에 성공하게 됩니다. 양견은 자신을 .. 2022. 12. 23. 고사성어, 도덕적 붕괴를 상징하는 [면장우피, 후안무치, 파렴치] 다음의 성어들은 부끄러움을 모르는 태도를 비판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단순한 옛말이 아니라, 현대 사회의 도덕적 기준을 지키는 나침반 역할을 합니다. 특히 SNS와 디지털 환경처럼 투명성이 강조되는 요즘 시대에는 번뻔함은 곧 신뢰 상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경고하기도 합니다. 각각의 표현이 현대 사회에 주는 교훈과 영향을 함께 정리해 보있습니다. 면장우피(面張牛皮) (요약) 얼굴에 소가죽을 발랐다는 뜻으로'얼굴에 철판을 깐 듯 뻔뻔하고 부끄러움을 모르는 사람'을 비유하는 말로 쓰입니다. (유래) 송나라 시절에 왕광원이라는 인물의 일화에서 유래된 이야기입니다. 왕광원 뛰어난 재능으로 과거에 급제했지만 출세욕이 지나치게 강한 사람이었습니다. 어느 권세가가 쓴 시를 보고는 "도연명.. 2022. 12. 1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