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고사성어 공부, 유비무환 계명구도, 교토삼굴..!!

by 솔모루촌장 2022. 12. 28.
728x90

계명구도(鷄鳴狗盜)

 

          < 닭 계, 울 명, 개 구, 도둑 도 >

 

(요약) 닭 울음소리와 개 도둑이라는 뜻으로

'하잘것없는 재주도 다 쓸 곳이 있다'는 말입니다.

 

(유래) 제나라 맹상군은 진나라 소왕의 초청으로 여러 식객들과 함께 진나라로 가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진나라에 머문 지 오래되었지만 소왕은 그들을 풀어주지 않고 있었습니다. 위기감을 느낀 맹상군 일행은 소왕의 애첩에게 탈출할 수 있게 도와 달라고 부탁을 했습니다. 그러자 소왕의 애첩은 여우 가죽으로 만든 호백구라는 옷을 요구했습니다. 하지만 그 옷은 이미 소왕에게 선물로 바쳤으므로 난처하게 되었지요. 그러자 개 도둑으로 알려진 식객이 소왕의 침실로 들어가 호백구를 훔쳐다 애첩에게 바치고 극적으로 탈출을 할 수 있었습니다. 맹상군 일행이 국경에 도달했을 무렵에는 동이 트기 전이라 국경의 관문은 굳게 닫혀있었습니다.  이때 누군가 닭 울음소리를 냈다. 그러자 동네 닭들이 모두 울어댔고, 닭울음소리를 들은 병사들은 날이 샜다고 여겨 관문을 열었습니다.  얼마 후 군사들이 쫓아왔으나 국경을 넘은 맹상군 일행은 무사히 귀국하였고, 훗날 맹상군은 탈출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두 식객에게 큰 상을 내리고 여러 사람들 앞에서 "내가 목숨을 구한 것은 계명(鷄鳴)과 구도(狗盜) 덕분이다." 라며 이들을 치하했다는 이야기입니다.

 

(현대적 교훈) 

1. 하찮은 재주도 쓸모가 있다

    : 실용적 기술, 특이한 능력이라도 필요할 땐 큰 힘이 된다.

2. 다양한 능력자들과 협력하라

    : 조직이나 팀은 다양한 능력과 개성을 가진 사람들이 모일 때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

3. 위기에서 살아남는 데 필요한 현실적 수완

    : 이론보다 현실감 있는 행동, 재치와 실용성이 위기 극복에 더 중요할 수 있다.

 

 

 

교토삼굴(狡兎三窟)

        < 교활할 교, 토끼 토, 석 삼, 구멍 굴 >

 

 

(요약) 영리한 토끼는 숨을 세 개의 굴을 판다는 뜻으로

'지혜로운 사람은 위기 상황에 대비해 대안을 마련해 둔다'는 것을 의미하는 말입니다.

 

 

(유래)  제나라 재상 맹상군은 식객을 좋아해 많은 식객을 거느리고 있었습니다. 어느 날 맹상군은 설 땅의 빚을 받아 올 사람을 찾는데 풍환이라는 사람이 자청하여 그를 설로 보냈습니다. 설에 도착한 풍환은 사람들에게 빚 문서를 가지고 나오라 하여 일일이 확인한 후에 모두 불태워 버렸습니다. 일 년 후 새로 즉위한 민왕의 미움을 사게 된 맹상군이 재상의 자리에서 쫓겨나게 되자 풍환은 맹상군에게 잠시 설에 가서 지낼 것을 권유하여 맹상군이 설에 도착하자, 그곳의 백성들은 환호하며 그를 맞이했습니다. 풍환은 맹상군에게  "교활한 토끼는 구멍을 세 개나 뚫지요(狡兎三窟), 하나는 잠자고, 하나는 도망치고, 하나는 위급할 때 숨습니다.  아직 두 개의 굴을 더 뚫어야 합니다"라고 하였습니다. 결국 풍환은 민왕을 설득하여 맹상군을 다시 재상의 자리에 오르게 하였고, 제나라 왕에게 선대의 종묘를 설 땅에 세우도록 하여 선왕 때부터 전승되어 온 제물을 종묘에 바치도록 했습니다.  선대의 종묘가 맹상군의 영지에 있는 한 맹상군을 함부로 대하지 못할 거라는 것까지 계산하였다는 이야기에서 유래된 고사성어입니다.  

 

 

(현대적 교훈)

1. 위기 대비는 선택이 아닌 필수

    : 불확실한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 항상 대비책을 준비해야 한다.

2. 플랜 A, B, C의 중요성

    : 한 가지 계획에만 의존하지 말고, 여러 갈래의 대안과 탈출구를 마련해야 위기 때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3. 지혜로운 생존 전략의 필요성

    : 뛰어난 사람은 단순히 똑똑한 게 아니라 상황을 대비하고 미리 움직인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