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사구팽(兎死狗烹)
(兎: 토끼 토, 死: 죽을 사, 狗: 개 구, 烹: 삶을 팽)
(요약) 토끼가 죽으면 사냥개를 삶는다는 뜻으로
'필요할 때는 요긴하게 쓰고, 필요가 없어지면 가차 없이 버린다'는 말입니다.
(유래 1) <<사기>>의 "월왕구천세가"에 나오는 범려와 문종의 이야기에서 유래합니다.
월나라 왕 구천은 오나라에 패한 뒤 범려와 문종이라는 충신의 도움
으로 오나라를 멸망시킵니다. 전쟁이 끝난 뒤 범려는 "이 사람은 고난은 함께할 수 있어도, 영광은 함께할 수 없는 인물이다"라고 구천의 성격을 간파했습니다. 범려는 월나라를 떠나 제나라에서 은거하며 "날던 새가 다 잡히면 좋은 활은 감추고, 교활한 토끼가 죽으면 사냥개는 삶아 먹는 법이요"라고 문종에게 편지를 보냅니다. 하나 문종은 떠나지 않았고 결국 구천에게 반역 혐의를 받아 자결을 강요당합니다.
(유래 2) 초한시대 한신과 유방의 이야기에서 유래합니다.
한나라 건국의 명장 한신은 유방을 도와 초나라 항우를 물리치고 천하 통일에 큰 공을 세웁니다. 그러나 전쟁이 끝나자 유방은 한신의 세력을 두려워하게 되고 , 결국 모반 혐의로 한신을 제거하려 합니다. 죽음을 앞둔 한신은 "교활한 토끼가 죽으면 사냥개를 삶고, 나는 새를 다 잡으면 좋은 활은 감추며, 적국을 멸하면 모신은 버려진다 (狡兎死, 走狗烹, 飛鳥盡, 良弓藏, 適國破, 謀臣亡) " 이렇게 탄식했다고 합니다.
오월동주(吳越同舟)
(吳: 오나라 오, 越: 나라이름 월, 同: 한 가지 동, 舟: 배 주)
(요약) 오나라 사람과 월나라 사람이 같은 배를 탔다는 뜻으로
'서로 적대적인 관계라도 같은 처지에 놓이면 협력하게 된다'는 말입니다.
(유래) 춘추시대 와라와 월나라의 관계에서 유래된 이야기입니다. 오나라와 월나라는 서로 영토를 많이 차지하려고 수 십 년간 전쟁을 벌인 철천지원수 지간으로 늘 싸움을 하며 사이가 좋지 않았습니다. 어느 날 오나라 사람과 월나라 사람이 같은 배를 타고 강을 건너게 되었는데 평소 같았으면 칼부림이 났을 사이지만 서로를 무시하며 강의 중간쯤에 이르렀을 때, 갑자기 사나운 풍랑이 불기 시작하며 배가 뒤집히려는 위기의 순간이 오자 오나라 월나라 할 것 없이 모두 달려들어 뱃사공을 도와 풍랑에 요동치던 배를 안정시켜 무사히 강을 건넜다고 합니다. '서로 미워하는 사이라도 어려움이 닥치면 협력하여 해결한다'는 말입니다.
이 장면은 <<손자병법>>의 <구지편>에 등장하며, 손무는 이를 통해 '위기 상황에서는 적이라도 협력하게 된다'는 병법적 통찰을 전합니다.
교각살우(矯角殺牛)
(矯: 바로잡을 교, 角: 뿔 각, 殺: 죽일 살, 牛: 소 우)
(요약) 쇠뿔을 바로 잡으려다 소를 죽인다는 뜻으로
'작은 결점을 고치려다 전체를 망치는 어리석은 행동'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유래) 옛날 중국에서 종을 만들 때 뿔이 곧게 나 있고 잘 생긴 소의 피를 종에 바르고 제사를 지내는 풍습이 있었는데, 한 농부가 자신이 키우고 있는 튼튼하고 건강한 소를 제사에 사용할 목적으로 소의 뿔을 균형 있게 바로잡으려다가 뿔이 뿌리채 빠져서 소가 죽었다는 이야기로 중국 고대의 법가 한비자의 책에서 유래합니다.
이는 작은 결점이나 흠을 고치려다 '정도가 지나치면 도리어 일을 그르친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각자무치 (角者無齒)
( 뿔 각, 놈 자, 없을 무, 이 치 )
(요약) 뿔이 있는 자는 이빨이 없다는 뜻으로
'사람은 누구나 장점과 단점이 있으며, 완벽한 존재는 없다'라는 말입니다.
(유래) 고대 중국의 자연 관찰과 철학적 통찰에서 비롯된 말입니다.
자연을 보면 날카로운 뿔을 가진 동물에게는 이빨이 약하거나 없고, 반대로 날카로운 이빨을 가진 동물에게는 뿔이 없습니다.
예를 들면, 소나 염소는 뿔이 있지만 이빨은 둔하고, 호랑이나 늑대는 날카로운 이빨이 있지만 뿔은 없습니다. 이처럼 모든 것을 다 갖춘 동물은 없듯이 사람도 모든 재능과 복을 다 가질 수는 없다는 고사성어입니다.
고려시대 문신 이인로의 <파한집> 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천지는 만물에 좋은 것만을 가질 수 없게 하였다. 그러므로 뿔이 있는 것은 이가 없고, 날개가 있는 것은 다리가 둘 뿐이며, 이름난 꽃은 열매가 없고, 채색 구름은 쉽게 흩어진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사성어, 사실 왜곡의 대명사 구밀복검, 양두구육, 지록위마,,! (0) | 2022.12.30 |
---|---|
고사성어 공부, 유비무환 계명구도, 교토삼굴..!! (0) | 2022.12.28 |
고사성어 한마디, 교훈이 되는 사자성어, [우생마사] (0) | 2022.12.25 |
고사성어 공부, 호랑이와 관련된 고사성어 [기호지세, 호미난방, 양호유환, 삼인성호] (0) | 2022.12.23 |
고사성어, 도덕적 붕괴를 상징하는 [면장우피, 후안무치, 파렴치] (0) | 2022.1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