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공이산(愚公移山)
< 어리석을 우, 공평할 공, 옮길 이, 멧 산 >
(요약) 우공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 쉬지않고 꾸준하게 밀고 나가면 마침내 그 일을 이룰
수 있음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유래) 중국 북산 땅에 우공이라는 아흔 살 노인이 살고 있었는데,
높고 넓은 산이 앞뒤로 꽉 막혀 있어 이동하기가 매우 불편했다.
어느 날 노인은 가족들을 모아 놓고 말했다. " 너희들과 힘을 모아서
저 산을 깍아 옮기고 싶다. 그러면 길이 넓어져 다니기가 편해질
것이다." 그러자 우공의 아내가 반대하며 나섰다. "당신 나이가
얼마인지 아시오? 언덕 하나도 깎기 어려울 텐데 태산같이 저 큰
산을 어찌 감당하겠소? 그리고 산에서 파낸 흙이나 돌은 어디다
버린단 말이오?" 그러나 우공은 발해 바다 끝머리에 버리면 된다고
하며 세 아들과 손자를 데리고 산의 돌을 깨고 흙을 파내어 삼태기
에 담아 지게에 지고 발해 바다 끝머리로 나르기 시작했다.
하지만 거리가 멀어 한 번씩 오가는데도 많은 시간이 걸려 1년이 지났는데도 산은 그대로였다.
황하강 기슭에 사는 늙은이가 이 모습을 보고 비웃으며 말했다. "그대는 참으로 어리석은 사람이오. 앞날이 얼마 남지도
않은 그대의 힘으로는 산의 풀 한 포기도 없애기 어려울텐데 그 많은 돌과 흙을 도대체 어찌할 생각이오?" 그러자 우공이 말했다. "앞날이 얼마 남지 않은 내가 죽더라도 자식이 남아 있소. 그 자식이 손자를 낳고 손자가 또 자식을 낳으면 자자손손 끊이질 않고 이 일을 할 것이오. 하지만 산은 아무리 커도 더 늘어나지 않으니 언젠가는 산이 깎여 평지가 될 날이 오지 않겠소?" 하자 황하의 늙은이는 더 이상 대꾸할 말이 없었다.
그러자 산에 사는 신령들이 이 말을 듣고 산을 깎는 일이 계속되면 산이 없어져 결국에는 자신들이 머물 곳도 없어지니
큰일이 아닐 수 없었다. 그래서 옥황상제에게 이 일을 어찌하면 좋을지 물었다.
그 말을 들은 옥황상제는 우공의 정성에 감동하여 하늘나라에서 가장 힘센 두 장수에게 그 산을 등에 지고 낙동 땅으로
다른 하나는 홍남 땅으로 옮기도록 하였다. 그로부터 우공의 집 주위에는 낮은 언덕조차 보이지 않았다.
'우공이산' 이야기는 <열자> <탕문> 편에서 유래되었으며, 어리석여 보였던 우공이 옥황상제를 감동시켜
큰 산을 옮겼듯이, 무슨 일이든 우직하고 끈기 있게 밀고 나가면 못 이룰 게 없다는 교훈적인 고사성어입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사성어 한마디, 재미있는 이야기 [어부지리] (0) | 2023.02.10 |
---|---|
고사성어 한마디, [마부작침] (3) | 2023.02.03 |
고사성어 한마디, [새옹지마] (0) | 2023.01.30 |
고사성어 한마디, [와신상담] (0) | 2023.01.24 |
고사성어 한마디, [모사재인 성사재천] (0) | 2023.01.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