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부지리(漁夫之利)
< 고기 잡을 어, 사내 부, 조사 지, 이로울 리 >
(요약) 어부가 취한 이득이라는 뜻으로
둘의 싸움에 이익은 제삼자에게 돌아감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유래) 연나라는 서쪽은 조나라, 남쪽은 진나라와 국경을 마주하고
있었기 때문에 항상 양쪽으로 위협을 받고 있었다. 어느 해 큰 흉년이
들어 곤경에 빠진 연나라를 조나라가 침략하려 하였다.
그러나 연나라는 진나라와의 국경에 많은 병력을 배치해 놓고 있었기
때문에 조나라와 싸울 여력이 없었으므로 조나라 왕을 설득시키기
위해 '소대'라는 대신을 조나라로 보냈다.
소대는 조나라 왕에게 "제가 조나라로 오는 길에 아주 이상한 광경을
목격했습니다."라고 하자 왕이 그게 무엇이냐고 물었다.
"역수 강가를 지나는데 코다란 조개가 입을 벌리고 햇볕을 쬐고 있는
데 갑자기 황새가 나타나 조갯살을 쪼아 먹으려고 부리를 집어넣자
놀란 조개가 입을 오므려 황새 주둥이를 꽉 물었습니다.
황새가 말했습니다. '오늘도 비가 안 오고, 내일도 비가 안 오면 너는 말라죽고 말 것이다.'
그러자 조개도 '내가 오늘도, 내일도 너를 놓지 않으면 너야 말로 굶어 죽고 말 것이다.'라며 서로 옥신각신
물고 늘어진채 고집을 부리고 있었습니다. 마침 지나가던 어부가 싸우는 그 둘을 보고 웬 횡재인가 하며
둘을 한꺼번에 잡아가 버렸습니다. 지금 황제께서는 연나라를 치려고 하십니다. 연나라가 조개라면
조나라는 황새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만약에 둘이 헛된 싸움을 벌이다 지치면 진나라는 어부가 되어 두 나라를
힘들이지 않고 집어삼키고 말 것입니다.!"라고 소대가 말했다.
그러자 조나라 왕은 "과연 그대 말이 옳은 것 같소.!"라며 연나라를 치려는 계획을 거두었다..
이 이야기 처럼 '어부지리(漁夫之利)'는 둘이 쓸데없이 싸우다가 제삼자에게 좋은 일만 생기세 함을 비유하는 말로
기업이나 정치판에서 종종 일어나기도 합니다. 두 기업이 경쟁하며 다투는 사이 엉뚱한 기업이 이익을 차지할 수도 있고,
선거에 나선 두 후보가 접전을 벌이다가 표가 나누어지는 바람에 제3의 후보가 당선되는 경우를 일컫는 말이기도 합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사성어 한마디, 재미있는 이야기 [서시빈목] (0) | 2023.02.14 |
---|---|
고사성어 한마디, 재미있는 한자 공부 [갈택이어] (0) | 2023.02.11 |
고사성어 한마디, [마부작침] (3) | 2023.02.03 |
고사성어 한마디, [우공이산] (2) | 2023.01.31 |
고사성어 한마디, [새옹지마] (0) | 2023.0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