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고사성어 공부, '모순'을 모른다면 고사성어는 아는 것이 없다..!!

by 솔모루촌장 2025. 8. 5.
728x90

 

모순(矛盾)

   <창 모, 방패 순>

 

(요약) 창과 방패라는 뜻으로,

'말이나 행동이 앞뒤가 맞지 않는 모습이나 논리적으로 충돌할 때'를 말합니다.

모순을 모르면 고사성어를 아는 것이 하나도 없다고 할 만큼 유명하고 자주 쓰이는 표현입니다.

 

 

(유래) 전국시대 한나라의 사기꾼 상인의 이야기에서 유래하였으며,  한비자의 <난언> 편에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어느 날 한 장사꾼이 시장에서 창과 방패(모矛와 순盾)를 늘어 놓고 여러 사람들에게 떠들었습니다. "이 창으로 말씀드리면 세상의 어떤 방패도 한 번에 뚫을 수 있습니다." 그러고 나서 "이 방패는 세상의 어떤 창도 뚫을 수 없을 만큼 강합니다."라고 외쳤습니다.

그러자 이를 듣고 있던 한 사람이 물었습니다. "당신이 파는 창과 방패는 놀라운 것인데, 그렇다면 당신 파는 창으로 당신이 파는 방패를 찌르면 어떻게 되는 궁금합니다."  그러자 장사꾼은 아무 말도 하지 못했고, 모였던 사람들은 웃음을 터뜨렸다고 합니다.

이후 모순이라는 단어의 어원이 생겼고, 말이나 행동, 주장에 있어서 앞뒤가 맞지 않거나 이치에 맞지 않는 상황를 가리키는 말로 정착하게 되었습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표현 중 하나가 바로 '모순'이라는 단어입니다.  어떤 말이나 행동이 앞뒤가 맞지 않거나 논리적 이치에 맞지 않을 때, 우리는 '그것은 모순이다"라고 합니다. 익숙한 단어이지만 그 유래를 알고 나면 훨씬 더 가까이 다가옵니다.

고사성어 '모순'은 단순히 말과 행동이 다른 것을 넘어서 인간의 사고방식과 사회적 태도, 나아가 국가나 조직의 정책에도 깊은 교훈을 줍니다.

 

현대 사회에 주는 교훈

 

고대의 짧은 일화에서 비롯된 모순이라는 단어는 오늘날까지도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존재합니다. 특히 현대 사회는 다양한 가치관과 이해관계, 정책이나 기술 등이 충돌하는 다원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모순의 존재는 피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이 모순을 인식하고 해소하려는 노력도 없이 그대로 방치하면 큰 갈등과 혼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의 말과 행동의 모순

우리는 일상에서 종종 타인에게는 엄격하지만 자신에게는 관대한 이중잣대를 대는 경우가 많습니다.예를 들어 정직을 강조하면서도 스스로는 거짓말을 하거나, 환경 보호를 외치면서 일회용품을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태도는 신뢰를 무너뜨리고 진정성을 상실하게 됩니다.

 

2. 기업과 조직의 모순

기업들이 흔히 '친한경 경영'을 내세우면서도 실제로는 환경 오염을 방치하거나,  '고객 중심'을 외치면서 고객의 불만을 외면하는 경우는 현대 사회에서 빈번하게 발견되는 모순입니다. 이러한 이중적인 모습은 소비자들의 신뢰를 잃게 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의 생존을 위협받게 됩니다.

 

3. 정치와 정책의 모순

정치는 가장 복잡한 이해관계의 장입니다. 어떤 정책이 국민의 권익을 위한 것이라면서도 실제로는 특정 계층의 이익을 대변하거나, 공정성을 외치면서 내부적으로는 불공정한 절차가 작동하는 경우, 이는 사회적 신뢰를 심각하게 훼손하게 됩니다. 정책과 현실 사이의 모순은 결국 사회 전체의 분열과 갈등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모순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모순은 부정적인 의미로 받아들여질 수 있지만, 반대로 그것을 인식하고, 고치려는 노력이 이루어진다면 발전의 계기가 될 수도 있습니다.때로는 모순이 자기 성찰의 기회가 되며, 조화와 균형을 추구하는 출발점이 될 수 있습니다.

- 자신의 언행 일치를 점검하고, 내면의 일관성을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 조직이나 사회는 내부의 모순된 구조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이해관계자들과 소통을 통하여 신뢰를 회복할 수 있습니다.

- 정책 결정자는 모순된 현실을 직시하고, 구체적인 해결책을 마련하는 실천적 지혜가 필요합니다.

 

'모순'이라는 고사성어는 인간 사회 전반에 걸쳐 끊임 없이 되새겨야 할 깊은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말과 행동의 일치, 이념과 실천의 조화, 명분과 실리의 균형은 모두 이 모순의 해소와 관련이 있습니다. 우리는 모두 완벽하지는 않기에 모순된 행동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그 모순을 알아차리고 인정하며 그것을 줄이기 위한 태도와 실천입니다. 그럴 때 우리는 보다 신뢰받는 개인이 되고,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728x90

댓글